오랜만에.거의 2년만인 듯. 글들을 결국 페북에 더 많이 쓴다. 그래도 정리되고 긴 글은 결국 여기에 써야 하는데.....
어제 발생했던 지진으로 내 페이스북은 난리가 났었다. 대부분의 지인이 진앙에서 30여 km 떨어져 있는 포항에 있었기에 많은 사람들의 생생한 후기를 볼 수 있었고, 걱정도 꽤 되었다. 한편으로는 이번 일이 그 피해나 사회적 파장만 작았지 세월호 사태의 재림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불과 하루 전에 일어난 일이기 때문에 아직 인과관계가 밝혀지지 않은 사실들이 많고, 모든 곳에서 모든 것을 다른 쪽으로 떠넘기는 듯한 모습도 여전하다. 여기에 대해서는 다양한 이야기들을 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우선은 시스템에 대한 이야기만 주로 해 보도록 하겠다. 1. 학교 사람들에게서 많이 들어왔던 지적인데, 재난문자가 지진이 일어나고 꽤 뒤에 도착했다고 한다. 수도권에 있는 나한테는 아예 문자가 오지 않기도 했고. 지난 몇 달..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1, 움베르트 에코의 를 다 읽었다. 읽으면서 이런저런 19세기 유럽의 사건들에 대한 공부도 틈틈히 하게 되었고, 평소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 같이 역사를 적당히 섞은 음모론스러운 게임들도 하곤 했던지라 재밌게 읽었다. 과는 달리 무대가 전 세계를 오가고 있고, 현대인들에게 있어 조금 더 친숙한 주제이기도 하기에 중세의 신학적 논쟁이 주요 테마 중 하나인(그걸 공부하는 것도 나름 재미있었지만) 같이 머리를 팽팽히 굴릴 필요는 없어 쉽게 읽어내려갔다. 앞서 언급한 두 소설 외의 움베르트 에코의 다른 소설을 아직 읽어보지는 못했지만, 움베르트 에코 소설들 전반에 깔려 있는 주제의식 중 하나는 '허구의 실체화에 대한 비판'으로 알고 있다. 이 주제의식은 에서도 이어진다. 다만 주제를 드러내는 방식에서 과는 차이..
이 책을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군중이 어떻게 행동하는가에 대해 나름의 해석을 내린 책으로, 역사적으로도 파시스트들이 이 책의 이론을 참고하여 자신들의 정치에 활용했을 정도로 꽤 큰 영향력을 가졌던 책이라고 한다. 중요한 건 이 책은 1895년, 다시 말해 지금으로부터 정확히 120년 전에 쓰여진 책이라는 것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사회에도 통하는 구석이 상당히 많은 내용들을 담고 있다. 물론 한 세기의 차이로 인해 달라진 부분도 많고, 무엇보다 작가 본인이 언급하듯 시대가 바뀜에 따라 '특정 언어는 같아도 그 언어가 주는 이미지는 달라지기 마련이라' 그 당시의 작가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과 지금의 내가 이해하고 싶은 것은 분명히 다를 것이다. 이 책에서는 무엇보다도 군중이라는 개념의 특성 상..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ASEAN-KOREA Future-Oriented Cooperation Project : Youth Exchange Program.
- Youth Exchange Program
- NECIS
- 한아세안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Arcade Fire
- The xx
- 리뷰
- 무한도전 가요제 논란
-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
- 음악
- My Bloody Valentine
- third eye foundation
- Chvrches
- 청소년단체협의회
- Right Words
- 소리바람소화기
- The Bones of What You Believe
- 세계철학사
- 국민안전처
- 아이유
- 한스 요하힘 슈퇴리히
- 세월호
- 국제교류
- 잔혹영화
- Right Thoughts
- 무한도전
- reflektor
- acoustic fire supression
- Tame Impalar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